맨위로가기

뤼카 다항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뤼카 다항식은 제2종 뤼카 수열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다항식으로, 뤼카 수에서 파생된 다항식 수열이다. 뤼카 수 Ln은 뤼카 다항식 Ln(1)과 같으며, L0=2, L1=1을 초기값으로 하고 Ln = Ln-1 + Ln-2의 점화식을 따른다. 뤼카 수는 피보나치 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피보나치 수 Fn과의 관계식, Ln = Fn-1 + Fn+1, F2n = LnFn 등이 존재한다. 뤼카 수와 피보나치 수의 비는 황금비에 수렴하며, 뤼카 수는 자연계에서도 발견된다. 뤼카 소수는 소수인 뤼카 수를 의미하며, 뤼카 수는 황금비의 거듭제곱을 연분수로 표현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뤼카 다항식은 프랑스 수학자 에두아르 뤼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점화식 - 마스터 정리
    마스터 정리는 분할 정복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 분석 도구로서, 점화식을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재귀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파악하고, 다양한 정렬 및 일반 알고리즘 분석에 활용되지만, 특정 조건에서는 적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점화식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피보나치 수 - 레오나르도 피보나치
    레오나르도 피보나치는 힌두-아라비아 숫자 체계를 유럽에 소개하고 피보나치 수열을 제시하여 중세 수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상업 발달을 돕는 《산반서》를 저술하고 황금비와 관련된 피보나치 수열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도록 했다.
  • 피보나치 수 - 피보나치 힙
    피보나치 힙은 최소 힙 속성을 가진 트리들의 집합으로, 각 노드의 차수를 특정 로그 값 이하로 유지하여 효율적인 삽입, 병합, 최소값 검색 연산을 지원하며,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 같은 그래프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에 활용된다.
  • 정수열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정수열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뤼카 다항식
개요
종류정수열
수열 시작2, 1
점화식L(n) = L(n-1) + L(n-2)
일반항L(n) = φ^n + (-φ)^-n
수열 값
처음 몇 개의 뤼카 수2, 1, 3, 4, 7, 11, 18, 29, 47, 76, 123, ...
성질
관련 개념피보나치 수
일반화
확장뤼카 다항식

2. 정의

뤼카 수 L_n은 초기값 L_0 = 2, L_1 = 1을 가지며, 다음 점화식으로 정의된다.

:L_n = L_{n-1} + L_{n-2} (단, n>1 인 자연수)

뤼카 다항식 L_n(x)은 뤼카 수의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 제2종 뤼카 수열 V_n(P,Q)에서 V_n(2,x)와 같다. 즉,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_0(x)=2

:L_1(x)=x

:L_n(x)=xL_{n-1}(x)+L_{n-2}(x)

뤼카 수는 뤼카 다항식에서 L_n(1)과 같다.

3. 성질

뤼카 수는 피보나치 수와 함께 자연계에 많이 존재한다. 피보나치 수 ''F''와 뤼카 수 ''L''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관계식이 존재한다.


  • L_n = F_{n-1}+F_{n+1}
  • F_{2n} = L_n F_n
  • F_n = {L_{n-1}+L_{n+1} \over 5}


같은 항 번호의 피보나치 수와 뤼카 수의 비 ''L''/''F''는 ''n''이 커짐에 따라 \sqrt{5}에 수렴한다.

피보나치 수와 마찬가지로, 뤼카 수도 인접한 2항의 비 ''L''/''L''은 ''n''이 커짐에 따라 황금비 \varphi = \frac{1 + \sqrt{5}}{2} = 1.61803398…에 가까워진다.

''n''번째 뤼카 수는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L_n = \left( \frac{1+\sqrt{5}}{2} \right)^n + \left( \frac{1-\sqrt{5}}{2} \right)^n= \varphi^n + (1-\varphi)^n = {\varphi^n + (-\varphi)^{-n}}

여기서 \varphi는 황금비이다.

3. 1. 일반항

뤼카 다항식의 일반항은 다음과 같다.

:L_n(x)=\left(\frac{x+\sqrt{x^2+4}}2\right)^n+\left(\frac{x-\sqrt{x^2+4}}2\right)^n=\sum_{k=0}^{\lfloor n/2\rfloor}\frac n{n-k}\frac{(n-k)!}{k!(n-2k)!}x^{n-k}

여기서 \lfloor-\rfloor는 바닥 함수이다.

특히 뤼카 수의 일반항은 다음과 같다.

:L_n=\lfloor\varphi^n+1/2\rfloor=\varphi^n+(-\varphi)^{-n}=\left(\frac{1+\sqrt5}2\right)^n+\left(\frac{1-\sqrt5}2\right)^n

여기서 \varphi황금비이다.

3. 2. 피보나치 수와의 관계

뤼카 수는 피보나치 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항등식으로 연결된다.

  • `Ln = Fn-1 + Fn+1 = 2Fn+1 - Fn`
  • `Lm+n = Lm+1Fn + LmFn-1`
  • `F2n = LnFn`
  • `Fn+k + (-1)kFn-k = LkFn`
  • `2F2n+k = LnFn+k + Ln+kFn`
  • `L2n = 5Fn2 + 2(-1)n = Ln2 - 2(-1)n` , 따라서 \lim_{n\to\infty} \frac{L_n}{F_n}=\sqrt{5}.
  • `|Ln - √5Fn| = 2/φn → 0`
  • `Ln+k - (-1)kLn-k = 5FnFk`; 특히 `Fn = (Ln-1 + Ln+1)/5`, 따라서 `5Fn + Ln = 2Ln+1`.


시각적으로 표현된 첫 번째 항등식


또한, 같은 항 번호의 피보나치 수와 뤼카 수의 비 Ln/Fn는 n이 커짐에 따라 \sqrt{5}에 수렴한다.[1]

3. 3. 생성 함수

뤼카 수의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1]

:\sum_{n=0}^\infty L_nx^n=\frac{2-x}{1-x-x^2}

뤼카 다항식의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2]

:\sum_{n=0}^\infty L_n(t)x^n=\frac{1+x^2}{1-tx-x^2}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Phi(x) = 2 + x + 3x^2 + 4x^3 + \cdots = \sum_{n=0}^\infty L_nx^n

직접 계산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begin{align}

\Phi(x) &= L_0 + L_1x + \sum_{n = 2}^\infty L_nx^n \\

&= 2 + x + \sum_{n = 2}^\infty (L_{n - 1} + L_{n - 2})x^n \\

&= 2 + x + \sum_{n = 1}^\infty L_nx^{n + 1} + \sum_{n = 0}^\infty L_nx^{n + 2} \\

&= 2 + x + x(\Phi(x) - 2) + x^2 \Phi(x)

\end{align}

따라서,

:\Phi(x) = \frac{2 - x}{1 - x - x^2}

이다.

\Phi\!\left(-\frac{1}{x}\right)는 음의 정수 인덱스를 가진 뤼카 수의 생성 함수이며, \sum_{n = 0}^\infty (-1)^nL_nx^{-n} = \sum_{n = 0}^\infty L_{-n}x^{-n}를 나타낸다.

:\Phi\!\left(-\frac{1}{x}\right) = \frac{x + 2x^2}{1 - x - x^2}

\Phi(x)는 다음 함수 방정식을 만족한다.

:\Phi(x) - \Phi\!\left(-\frac{1}{x}\right) = 2

피보나치 수의 생성 함수는

:s(x) = \frac{x}{1 - x - x^2}

이므로,

:s(x) + \Phi(x) = \frac{2}{1 - x - x^2}

이며, 이를 통해

:F_n + L_n = 2F_{n+1}

임을 증명할 수 있다.

또한,

:5s(x) + \Phi(x) = \frac2x\Phi(-\frac1x) = 2\frac{1}{1 - x - x^2} + 4\frac{x}{1 - x - x^2}

를 통해

:5F_n + L_n = 2L_{n+1}

임을 증명할 수 있다.

부분 분수 분해는 다음과 같다.

:\Phi(x) = \frac{1}{1 - \phi x} + \frac{1}{1 - \psi x}

여기서 \phi = \frac{1 + \sqrt{5}}{2}황금비이고, \psi = \frac{1 - \sqrt{5}}{2}는 그 켤레이다.

이를 사용하여 생성 함수를 증명할 수 있다.

:\sum_{n = 0}^\infty L_nx^n = \sum_{n = 0}^\infty (\phi^n + \psi^n)x^n = \sum_{n = 0}^\infty \phi^nx^n + \sum_{n = 0}^\infty \psi^nx^n = \frac{1}{1 - \phi x} + \frac{1}{1 - \psi x} = \Phi(x)

3. 4. 음의 정수로의 확장

뤼카 수는 점화식을 이용하여 음의 정수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다. 점화식 L_{n-2}=L_{n}-L_{n-1}을 사용하면 뤼카 수를 음의 정수로 확장할 수 있다.[1]

  • 5 ≤ ''n'' ≤ 5 에 대한 뤼카 수는 다음과 같다.

:-11, 7, -4, 3, -1, 2, 1, 3, 4, 7, 11

음수 n에 대한 뤼카 수열은 다음과 같다.

:1, 2, -1, 3, -4, 7, -11, 18, -29, 47, -76, 123, -199, 322, -521, ...

음수 지수를 가진 항에 대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1]

:L_{-n}=(-1)^nL_n.\!

4. 뤼카 소수

뤼카 소수(prime Lucas numbers영어)는 소수인 뤼카 수이다. 처음 몇 개의 뤼카 소수는 다음과 같다.

: 2, 3, 7, 11, 29, 47, 199, 521, 2207, 3571, 9349, 3010349, 54018521, 370248451, 6643838879, ...

뤼카 소수의 지수는 (예: ''L''4 = 7) 다음과 같다.

: 0, 2, 4, 5, 7, 8, 11, 13, 16, 17, 19, 31, 37, 41, 47, 53, 61, 71, 79, 113, 313, 353, 503, 613, 617, 863, 1097, 1361, 4787, 4793, 5851, 7741, 8467, ...

만약 ''Ln''이 소수이면 ''n''은 0, 소수 또는 2의 거듭제곱이다.[6][8] 그러나, ''n''이 소수여도 ''Ln''이 소수가 된다는 보장은 없다.

뤼카 소수가 무한히 많다는 추측이 있다.[9]

현재,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뤼카 확률적 소수는 1,142,392개의 십진 자릿수를 가진 ''L''5466311이다.[5]

5. 황금비와의 관계 및 활용

뤼카 수는 황금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뤼카 수에서 인접한 두 항의 비율 ''L''/''L''은 ''n''이 커짐에 따라 황금비 \varphi = \frac{1 + \sqrt{5}}{2} = 1.61803398…에 수렴한다.[7]

''n''번째 뤼카 수는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L_n = \left( \frac{1+\sqrt{5}}{2} \right)^n + \left( \frac{1-\sqrt{5}}{2} \right)^n= \varphi^n + (1-\varphi)^n = {\varphi^n + (-\varphi)^{-n}}

여기서 \varphi는 황금비이다.[7]

황금비의 거듭제곱은 뤼카 수를 이용한 연분수로 표현할 수 있다. 양의 정수 ''n''에 대한 연분수는 다음과 같다.[7]

: \varphi^{2n-1} = [L_{2n-1}; L_{2n-1}, L_{2n-1}, L_{2n-1}, \ldots]

: \varphi^{2n} = [L_{2n}-1; 1, L_{2n}-2, 1, L_{2n}-2, 1, L_{2n}-2, 1, \ldots]

예를 들어,[7]

: \varphi^5 = [11; 11, 11, 11, \ldots]

는 다음 수열의 극한이다.

: \frac{11}{1}, \frac{122}{11}, \frac{1353}{122}, \frac{15005}{1353}, \ldots

그리고

: \varphi^6 = [18 - 1; 1, 18 - 2, 1, 18 - 2, 1, 18 - 2, 1, \ldots] = [17; 1, 16, 1, 16, 1, 16, 1, \ldots]

는 다음 수열의 극한이다.

: \frac{17}{1}, \frac{18}{1}, \frac{305}{17}, \frac{323}{18}, \frac{5473}{305}, \frac{5796}{323}, \frac{98209}{5473}, \frac{104005}{5796}, \ldots

뤼카 수는 해바라기에서 피보나치 수 다음으로 두 번째로 흔하게 나타나는 패턴이다.[7]

6. 역사

프랑스 수학자 에두아르 뤼카의 이름을 땄다.

참조

[1] 웹사이트 Lucas Number https://mathworld.wo[...] 2020-08-11
[2] 서적 Things to Make and Do in the Fourth Dimension Farrar, Straus and Giroux 2014-01-01
[3] 서적 Things to Make and Do in the Fourth Dimension Farrar, Straus and Giroux 2014-01-01
[4] 웹사이트 The Top Twenty: Lucas Number https://primes.utm.e[...] 2022-01-06
[5] 웹사이트 Henri & Renaud Lifchitz's PRP Top - Search by form http://www.primenumb[...] 2022-01-06
[6] 문서 The Prime Glossary: Lucas prime http://primes.utm.ed[...] Chris Caldwell
[7] 간행물 Novel Fibonacci and non-Fibonacci structure in the sunflower: results of a citizen science experiment
[8] 웹사이트 The Prime Glossary: Lucas prime https://primes.utm.e[...] 2019-08-22
[9] 웹인용 The Prime Glossary: Lucas prime http://primes.utm.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